의식이 물질을 지배하는 10가지 놀라운 사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기쁨 댓글 0건 조회 8,528회 작성일 14-12-16 13:30본문
의식이 물질을 지배하는 10가지 놀라운 사례
10 Amazing Examples of Mind Over Matter
Published on December 7, 2014 by admin · No Comments
3. 고통을 막고 벗어나기 Block Out Pain
몸은 쇠약해졌고 포로되기 전보다 100파운드나 살이 빠졌지만 이윽고 감방에서 풀려났고, 홀은 석방되면서 하는 소리가 골프장에서 정식 라운드를 뛰고 싶다는 것이었다. 그소리를 들은 그레이터 뉴올리언즈 오픈대회 주최자는 홀을 초청했는데, 놀랍게도 홀은 거기서 76타를 기록했다. 그러자 언론사 기자가 홀에게 말하기를 당신처럼 수년만에 초보자가 이런 기록을 낸것은 지극히 행운이라고 했는다, 홀은 답하길, "행운이라, 사실 나는 지난 5년간 골프그린에 나가서 퍼팅을 3번 한적이 없었다네," 라는 말이었다. 그의 말은 자신의 의식의 골프경기에서 늘상 좋은 기록을 냈다는 말이다.
비록 몸은 쇠약하고 7년이 넘게 골프코스에 나가지 못했어도, 그가 그려내는 골프경기의 상황을 몸은 늘상 겪으며 근육의 기억을 잊지않고 단련시켰다. 의식은 의식만이 아닌 물리적 몸도 훈련시킨다.
잭 쉬발츠, 유태계 네델란드 작가는 2차대전중에 나치 집단수용소에서 공포의 상황에서 살아야했다. 다른 사람처럼 그는 맞았고, 굶주렸고, 상상 이상으로 고문을 당했다.
이런 것을 이겨내려고 그는 명상과 기도 훈련을 시작했다, 그래서 거의 극한의 고통을 막아내는 지점을 만들어서 고통을 견대내는 방안을 찾았다.
수용소에서 석방된 후에 쉬발츠는 자신의 의식을 이용해서 물질을 지배하는 연습을 계속해서 긴 돛을 만드는 바늘을 자신의 팔뚝에 꽂아도 상처없이 견디는 모습을 과시하곤 했다. 그리고 팔뚝에 피를 흐르게 해서 혈압과 혈류를 통제하는 능력을 과시했다.
쉬발츠는 메닝커 재단의 연구진과 함께 그가 진짜로 의식을 통해서 몸의 대사를 통제하는 능력을 계측하곤 했다. 나아가 뇌조영술을 통해서 그들은 뇌가 다른 전기작용을 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는 다른 시험결과와 대조되는 것이다. 쉬발츠에 따르면 그는 사람의 아우라를 볼수있으며, 그래서 그들의 물리적, 감정적, 영적, 의식적 상태를알 수있다는 것이다.
Jack Schwarz, a Dutch Jewish writer, also lived in horrific conditions while forced into a Nazi concentration camp during World War II. Like so many others, he was beaten, starved, and tortured beyond what most of us can comprehend. To cope with his situation, he began the practice of meditation and prayer, which he developed to the point where he could block out the pain of his torment and subsequently withstand his situation.
After his release, Schwarz continued his mind over matter practice and occasionally demonstrated his skills by putting a long sail-maker’s needle through his arm without injury. He also displayed his ability to regulate his body’s blood flow by causing the puncture hole in his arm to bleed or stop bleeding at will. Schwarz was studied by researchers at the Menninger Foundation who found that he could indeed control many of his bodily processes with only his mind. Furthermore, through an electroencephalograph, they determined his brain had different electrical activity as compared to most other test subjects. According to Schwarz, he could also see people’s auras, which allowed him to gauge their physical, emotional, spiritual, and mental conditions.
2. 긍정성과 명상 Positivity and Meditation
의심의 여지없이 사람이 생명이 위독한 병에 걸렸을때 긍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일이 아주 어렵다, 허나 다양한 의료 연구결과는 그런 긍정의 마음을 유지하는 것이 살고 죽는데 아주 큰 차이가 있다고 보고한다.
1989년도에 있었던 일인데, 데이빗 스피겔 박사는 스탠포드대에 있으며 말기 유방암환자 86명의 케이스를 연구했다. 그 여성들 중에서 절반은 표준적인 의료치료를 받았고 나머지 절반은 표준 진료외에 주간 지원진료를 더 받게 되었다. 그 진료를 받는동안에 여성들은 자기 느낌을 말하고 다른이의 체험을 공유하며 어떤 긍정적인 기운을 느끼며 병증을 이겨나가곤 했다.
연구가 끝난후에 지원진료를 받은 여성들은 그렇지 않은 여성들보다 두배나 길게 생존했다.
1999년도에 유사한 연구가 암환자에 대해서 시행되었는데, 게중에 무기력하고 절망적인 환자들은 생존 기회가 더 낮았다.
최근에 데이빗 세이들러 작가는 "왕의 연설"이란 저서를 내면서 그의 암을 명상과 상상기법을 통해 극복했다는 주장을 했다. 그는 수년간 방광암과 싸웠는데 수술을 불과 두주일 앞두고 그에게 큰 결심을 하는 계기가 있었다.
세이들러는 만일 그의 상상기법을 통해 암을 제거할수있는지 보겠다고 아주 엉뚱한 결심을 했다. 그는 이 생각이 좀 황당하다는 것을 인정했다, 허나 그것을 한다고 해서 그가 잃을 것은 없었다. 이윽고 그는 두주일 남은 암수술을 앞두고서 깨끗하고 건강한 크림색의 방광을 그려내는 상상 명상을 하면서 그 시간을 지냈다.
세이들러가 수술을 받기전에 생체검사를 했는데 의사는 암이 확실하게 사라진 것을 보고서 깜짝 놀랐다. 그래서 의사는 시험을 받자고 네군데 연구소에 생체검사기록을 보내기도 했다.
세이들러는 그의 상상기법이 암을 사라지게 한 것이라고 믿는다, 그의 의사는 암이 자연소멸되었다고 판정했다.
Undoubtedly it’s difficult to keep a positive attitude when you’re facing a life-threatening disease, but, based on a variety of medical studies, doing so may mean the difference between living and dying.
For example, in 1989, Dr. David Spiegel of Stanford University conducted a study on 86 women with late stage breast cancer. Half of those women received standard medical care while the other half were given weekly support sessions in addition to the standard medical care. During the sessions the women shared their feelings, talked with other patients, and generally had a positive outlet where they could cope with their illness. At the end of the study, the women in the support group lived twice as long as those not in the group. In 1999, a similar study found that cancer patients who have feelings of helplessness and hopelessness have a lower chance of survival.
In recent years, David Seidler, writer of “The King’s Speech,” claimed to have eliminated his cancer through meditation and imagination. After battling bladder cancer for years and only two weeks away from surgery, Seidler decided to see if he could get rid of the cancer through his imagination. He admittedly thought the idea was a little “woo-woo,” but by that point he figured he had nothing to lose. So, he spent the two weeks leading up to his surgery envisioning a clean, cream-colored, healthy bladder. When Seidler went in for his pre-surgery biopsy, the doctor was stunned to find a distinct lack of cancer – he even sent the biopsy to four different labs for testing. While Seidler believes his visualization were behind the cancer’s disappearance, his doctor labeled it a “spontaneous remission.”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